본문 바로가기

NetWork

리눅스에서 서버사양 확인하기 1. 서버모델확인 dmidecode | grep Name 2. 시리얼번호 확인 dmidecode | grep Serial 3. CPU cat /proc/cpuinfo dmesg | grep CPU 4. 메모리 cat /proc/meminfo dmesg | grep memory 5. 기타 하드웨어 장비확인 전체검색 : cat /etc/sysconfig/hwconf 상세검색 : cat /etc/sysconfig/hwconf | grep Mouse cat /etc/sysconfig/hwconf | grep Graphic cat /etc/sysconfig/hwconf | grep Net 6. kernel 확인 cat /proc/sys/kernel/osrelease uname -a cat /proc/version.. 더보기
Ubuntu에 JDK 설치하기 Ubuntu에 JDK 설치하기 기본적으로 Java 나 안드로이드를 하려고 한다면 JDK를 설치해야 합니다. 윈도우에서는 설치가 있어서 간편한데, 리눅스에서 JDK를 설치하는 방법이 모르는 경우가 있어서 설명하고자 합니다. JDK 설치는 Ubuntu 12.04 Desktop 32비트 버전에서 진행하였습니다. 1. apt-get 으로 openjdk 설치 기본적으로 Ubuntu에서 지원하는 apt를 가지고 설치를 할 수 있습니다. apt 로 설치할 수 있는 항목은 openjdk입니다. Ubuntu Desktop 버전에서는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UI 화면을 보면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터미널에서는 아래와 같이 명령을 주면 됩니다. $ sudo apt-get install openjdk-7-jdk openj.. 더보기
리눅스 SFTP만 되는 계정 설정 리눅스에서 로그인 Shell 권한은 없고 SFTP만 접속할 수 있는 계정 설정하는 방법 ## CentOS 6 버전에서 테스트 완료 ## 1. 로그인 Shell 권한 없는 계정 생성 useradd -s /sbin/nologin 계정이름 2. 패스워드 설정 passwd 계정이름 3. sshd_config 수정 /etc/ssh/sshd_config 파일에서 아래 라인 수정 수정 전 : Subsystem sftp /usr/libexec/openssh/sftp-server 수정 후 : Subsystem sftp internal-sftp 4. SSH 데몬 재기동 service sshd restart 이 방법은 엄밀히 말하면 "nologin 계정에 SFTP를 허용하는 방법" 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Linux(리눅스) 계정 관리(추가,수정,삭제) [사용자, 그룹 관리와 관련된 파일들] /etc/passwd : 사용자 계정 정보 파일. /etc/shadow : 암호화된 사용자 비밀번호 저장파일. /etc/group : 사용자 그룹 정보 저장파일. /etc/skel : 사용자 등록시 홈디렉토리에 복사되는 원본파일이 저장된 디렉토리 (사용자 추가시 홈 디렉토리에 복사됨). /etc/default/useradd : 새 사용자 등록시 기본 설정정보 파일(홈 디렉토리 기본 위치, 기본 쉘 종류, 기본 그룹 등). /etc/login/defs : 기타 사용자 생성 옵션들이 정의된 파일. ※ /etc/passwd 의 파일 저장 형식 - 사용자계정:암호:UID:GID:사용자이름:홈디렉토리위치:사용쉘 # cat /etc/passwd root:x:0:0:root:/.. 더보기
우분투(Ubuntu) 서버 네트워크 설정 1. 네트워크 설정 파일 접근 1 $ vi /etc/network/interfaces 2-1. DHCP로 설정 1 2 3 4 5 6 7 8 # This file describes the network interfaces available on your system # and how to activate them. For more information, see interfaces(5). # The loopback network interface auto lo iface lo inet loopback # The primary network interface auto eth0 iface eth0 inet dhcp 2-2. static으로 설정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 더보기
UBUNTU server 설치 1. 서버 설치 후 open ssh 설치 설치된 패키지 목록을 확인하려면 $ dpkg -l 너무 많은 목록이 나오기 때문에 ssh 관련 목록만 확인해 보자. $ dpkg -l |grep ssh ii openssh-client 1:5.8p1-7ubuntu1 secure shell (SSH) client, for secure access to remote machines ii ssh-import-id 2.5-0ubuntu2 securely retrieve an SSH public key and install it locally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설치하러 고고~ $ sudo apt-get install openssh-server 패키지가 다운로드 되어 자동으로 설치되고 데몬이 동작한다. >>> 설.. 더보기
REST REST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동: 둘러보기, 찾기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월드 와이드 웹과 같은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한 형식이다. 이 용어는 로이 필딩(Roy Fielding)의 2000년 박사학위 논문에서 소개되었다. 그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의 주요 저자들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 뒤로 이 개념은 네트워킹 문화에 널리 퍼졌다. 엄격한 의미로 REST는 네트워크 아키텍처 원리의 모음이다. 여기서 네트워크 아키텍처 원리란 리소스를 정의하고 리소스에 대한 주소를 지정하는 방법에 대한 개괄을 말한다. 간단한 의미로는, 도메인 지향 데이터를 HTTP위에서 SOAP이나 쿠키를 통한 세션 트랙킹 같은 .. 더보기
NoSQL이란 무엇인가? 근래에 들어서 기술의 빅 트렌드 중의 하나는 빅데이터와 NoSQL이다. 빅데이터와 NoSQL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빠른 시간에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기에 각광을 받고 있지만, 기술적 난이도도 높고 기능적 제약도 많은 탓에 일반적인 기업에서 제대로 된 이해 없이 도입했다가 오히려 낭패를 보는 경우가 많다. 이 글에서는 NoSQL의 등장 배경과 정의, 그리고 특성 등을 소개함으로써 NoSQL을 정확히 이해하고, 나아가 올바른 사용법을 점검하는 기회를 마련했다. 인터넷 대중화에 이어 수년 전부터 SNS 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컴퓨팅 시스템에도 변화가 찾아오기 시작했다. NoSQL의 등장 배경 예전에 컴퓨팅 시스템은 기업 업무를 자동화하고 효율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그래서 기업의 복잡한 데이터를 저.. 더보기
SOAP이냐 REST이냐 객체지향기술을 넘어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기술 그리고 이제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기술로 이전하는 추세이다. 이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아키텍처가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인데 여기에서 이야기하는 Service는 기존의 API 수준을 넘어 비즈니스 프로세스 수준에서 재 사용할 수 있는 단위 비즈니스 업무의 서비스를 이야기한다. 즉 기존 기술의 API 보다 좀 더 비즈니스에 가깝게 추상화된 고수준의 서비스이다.SOA가 추구하고자 하는 것은 서비스의 구현기술에 상관없이 서비스들을 엮어 좀 더 가치있는 새로운 서비스를 쉽게 창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OA 기반기술SOA 기반의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이야기하면 SOAP을 많이 이야기하는데 엄밀히 이야기하면 반드시 SO.. 더보기
[ Linux ] 파일, 디렉토리 복사 cp 1. 기능 파일을 현재의 위치나 다른 디렉토리로 복사(copy)한다. 2. 문법 # cp [ 옵션 ] 파일명1 파일명2 # cp [ 옵션 ] 파일명(들) 디렉토리 3. 옵션 -a : 가능한 한 원 파일의 구조와 속성을 그대로 복사한다. -b : 복사할 때 덮어쓰게 되는 파일은 백업을 만든다. -d : 심볼릭 링크는 심볼릭 링크로 복사한다. 그리고 원본 파일과의 하드 링크 관계를 유지한다. -f : 복사 위치에 존재하는 파일을 제거하고 복사한다. -i : 복사 시 같은 이름의 파일이 존재한다면 덮어쓸 것인가 확인한다. -I : 하드 링크를 만든다. -P : 원본 파일의 소유자, 그룹, 권한, 시간 기록을 그대로 복사한다. -R , -r : 파일과 하위 디렉토리에 포함된 파일 모두를 복사한다. -s : 디렉.. 더보기